2019년 제34회 SQL 개발자 자격시험에 응시하였고 합격하였다.
학교에서 데이터베이스 과목을 수강하였기 때문에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지식도 있었고,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에서 데이터베이스 과목은 100점으로 통과했기 때문에 자신감이 있었다. 그래서 그런지 학교 시험 준비도 겹쳐서 그런지 자격증 시험 준비는 잘 되지 않았고, 간신히 합격하기는 했다.

SQL 자격증은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SQL을 작성할 수 있는 개발자가 가질 수 있는 자격증이다.
SQLP와 SQLD가 있고 SQLP는 전문가, SQLD는 개발자이다. 두 자격증은 응시하는 시험의 과목에서 차이가 난다.
[1] 자격 요건
SQLD는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다. 그냥 다 응시할 수 있다.
SQLP는 응시자격이다. 학력/경력 기준 또는 자격기준 중 한가지만 충족하여도 응시자격이 부여된다.
학력/경력 기준
-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자
- 전문학사학위 취득 후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자
- 고등학교 졸업한 후 실무경력 4년 이상인 자
자격기준
-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관련 자격을 취득한 자
- SQL 개발자 자격을 취득한 자
[2] 일정
시험일정은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에서 확인하는게 더 편하다.
시험 접수기간이 생각보다 많이 길다. (시험 접수 후에 2일내에 결제를 진행해야한다)
http://www.dbguide.net/da.db?cmd=snb4_1_list
:: DBguide.net ::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www.dbguide.net
[3] 과목 / 합격 조건
SQL 전문가 | SQL 개발자 |
데이터 모델의 이해 및 분석(10) | 데이터 모델의 이해 및 분석(10) |
SQL 이해 및 활용(20) | SQL 이해 및 활용(40) |
SQL 튜닝(40) |
1. SQL 전문가
SQLP는 필기 실기를 한번에 응시하고 총 72문항이 있다. 필기 70문항, 실기 2문항이다.
필기 각 문제는 1점으로 70점이고, 데이터 모델의 이해 및 분석 10문제, SQL 이해 및 활용 20문제, SQL 튜닝 40문제로 되어있다.
실기는 각 15점으로 2문제이니 30점이다.
합격기준은 총점이 75점 이상이 되어야 하고, 과목별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2. SQL 개발자
SQLP는 필기만 응시하고 총 50문항이 있다.
각 문제는 2점으로 100점이고, 데이터 모델의 이해 및 분석 10문제, SQL 이해 및 활용 40문제로 되어있다.
합격기준은 총점이 60점 이상, 과목별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시험공부 방법
보통은 책을 보고 공부하지만 기관에서 낸 책은 5만 원이라는 거금을 주고 구입하여야 한다.
하지만 책 내용이 사이트에 그대로 있다는 사실을 알고 아래 사이트에 있는 자료들로 공부하였다.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DBGuide.net
엔터티 속성 관계 식별자 데이터 모델의 이해 1. 모델링의 이해 가. 모델링의 정의 인류의 가장 보편적인 특징이면서 욕구 중의 하나는 의사소통을 하면서 항상 그에 대한 기록을 남기는 것이다. 어떤 현상에 대해 기록하고 남겨 자신 스스로 또는 다른 사람에게 적절한 의미를 주기 위해 고대부터 기록의 문화는 발전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모델이라고 하는 것은 모형(模型), 축소형(縮小型)의 의미로서 사람이 살아가면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현상에 대해서 일정한
www.dbguide.net
사이트로 내용 정리는 3일 정도 한 것 같고, 나머지는 문제풀이를 하였다.
문제풀이는 한국데이터진흥원에서 나온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를 풀었다. 한 번은 그냥 다 풀고 한 번은 틀린 문제를 풀었다.
과목별
데이터 모델의 이해 및 분석: 개념 위주의 문제가 나올 수밖에 없는 과목이다. 문제 풀이도 중요하지만 이 과목은 내용 정리가 더 중요하다. 용어의 뜻을 파악하면서 하나씩 이해해 나가는 것을 추천한다.
SQL 이해 및 활용: 가장 비중이 크다. 컴퓨터에 ORACLE Database 설치해서 실습하면서 학습하였다. 문제 자체가 SQL을 만질 수 있으면 맞출 수 있는 문제도 있지만, 얼마나 자세히 알고 있는지에 대해서 파고드는 문제도 있기 때문에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아마 나는 다 틀렸다) 틀린 문제는 SQL 쿼리를 하나씩 써보고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5] 시험은 어땠나?
시험 응시는 영진 전문 대학교의 강의장에서 응시하였고, 대구 응시자들만 생각하였을 때 50명 정원의 강의장 4개가 배정된 것 같다.
시험 내용은 문제집의 문제 거의 그대로 나온 것 같다. 문제를 많이 풀지 않아서 틀릴 것 같은 문제였지만 어디서 본거 같은 문제는 많이 나왔다. 그래서 출제기관에서 출판하는 문제집이 가장 좋은 것 같다.
마치며
SQL 개발자 시험을 응시하며 나의 경험을 써보았다. 지난 정보처리기사 때도 그런 것 같은데 공부 많이 안 했다.
나는 시험을 응시하기 전 운영하는 사이트를 자주 접속하는 편인데,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사이트는 다른 사이트에 비해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 같다.
1. Chrome 지원 안 함
Chrome은 나만 그런지 모르겠는데 접속하면 html만 나오는 것 같다. IE로 접속해야 제대로 확인할 수 있다.
2. 로그인
로그인을 하고 들어가면 로그인이 되지 않아서 다시 로그인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있었다.
3. 시험 조회 불편함
"시험 접수"에서 "접수 조회"를 들어가서 "SQLD"를 누르고, "수험표 출력하기"에서 내 수험번호를 찾은 뒤에
"시험 결과"에서 어느 시험인지, 몇 회인지, 몇 년생인지, 수험번호와 이름을 입력해야 시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수정이 필요한 것 같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필기/실기 합격 후기/경험 (0) | 2019.09.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