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마스터

[리눅스 마스터] 리눅스 사용자(User) 관리 - 2

최적합 리눅스 마스터 1급(성안당 출판)을 참고하였고, CentOs 환경에서 실습하였다.

 

su [사용자 계정]

su(switch user) 명령은 사용자 변경을 할 수 있는 명령이다.

현재 사용자의 이름을 출력하는 whoami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사용자 이름을 파악하고

su명령으로 사용자를 바꾸고 다시 확인해 보았다.

whoami 명령으로 현재 사용자는 root인데 여기서 su 명령으로 test 계정으로 사용자를 변경하고 다시 whoami 명령으로 확인하니 test로 사용자 계정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xit 명령으로 현재 사용 중인 계정을 종료할 수 있다.

 

usermod [옵션] [사용자 계정]

옵션 설명
-u 사용자 계정 UID 생성
-g 사용자 계정의 1차 그룹 GID 지정
-G 사용자 계정의 2차 그룹 GID 지정
-c 주석
-d 사용자 홈 디렉토리 지정
-e 사용자 계정 만료일 지정
-f 사용자 계정 유효일 지정
-s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기본 셸(Shell) 지정

사용자 설정을 변경해주는 명령이다. 

현재 test 계정의 정보를 보면 홈 디렉터리는 /home/test이고 기본 셸은 /bin/bash이다.

이제 usermod 명령을 사용하여 홈 디렉터리를 /home/test2로 바꾸고 기본 셸은 /bin/sh, 주석도 추가해 보겠다. -> usermod -d /home/test2 -s /bin/sh -c mixuklife test

/etc/passwd 파일의 내용을 보면 test 계정의 정보가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usermod 명령대로 홈 디렉토리, 기본 쉘이 변경되고 주석이 추가되었다.

 

userdel [사용자 계정]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는 명령이다.

test 계정을 userdel 명령으로 삭제하고 /etc/passwd 파일의 내용을 확인해보니 계정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roupadd [옵션] [그룹명]

옵션 설명
-g 그룹의 GID 지정
-r 0 ~ 499까지 GID 자동 지정

그룹을 추가하는 명령이다.

groupadd 명령으로 testg라는 이름의 그룹을 추가해보겠다.

추가된 그룹은 /etc/group 파일에 저장되어 있고, 그룹의 패스워드는 /etc/gshadow 파일에 있다.

1) /etc/group

testg x 1001  
그룹이름 그룹 패스워드 GID 그룹 구성원 사용자 계정이름

2) /etc/gshadow

testg !    
그룹이름 그룹 패스워드 그룹 소유주 그룹 구성원 사용자 계정이름

 

groupmod [옵션] [그룹명]

옵션 설명
-g 그룹의 GID 지정
-r 0 ~ 499까지 GID 자동 지정

그룹의 설정을 변경해주는 명령이다.

groupmod 명령을 사용하여 testg의 GID를 1001에서 1002로 지정해보겠다.

/etc/group 파일을 확인하면 testg 그룹의 GID가 1002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roupdel [그룹명]

그룹을 삭제하는 명령이다.

groupdel 명령으로 testg 그룹을 삭제하고 /etc/group 파일을 확인하니 testg가 삭제된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 조회 명령

users
리눅스 로그파일 utmp, wtmp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여 준다.

사용자 계정을 변경하여도 변하지 않는다.


last

wtmp파일을 역으로 조회하여 마지막으로 최근에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를 보여준다.


who 

사용 중인 사용자 계정, 터미널 번호, 로그인한 시간 정보를 출력한다.

w 

로그인한 계정과 현재 실행하고 있는 작업의 종류 출력한다. 

id

로그인한 자기 자신의 정보 출력한다. UID, GID, Groups 등

groups

사용자의 그룹 정보를 확인